
12화.
갑자기 대두되는 주인공.
왜? 여태까지 진행하고 다르게 왜?
왜?
도대체 여태까지 진행은 뭐였음?


노력하는자.


포기해버린자.

주인공 딥빡.

계속되는 연습에도 불구하고 보답받지 못함에 분해하는 주인공.

그리고 그런 주인공에게 더 앞을 말하는 고문 선생.

그리고 다시 활기를 찾은 주인공.
클라이맥스에 달하기 전에 고양감은 없고 그대로 그냥 진행.

라스트 13화.

등교.

응원.

출발.

준비.

격려.

그리고 오픈.

콩쿨 연주(클라이맥스)가 끝나고.

라스트.
금상 받고 전국을 노리게 된 이들.
그리고 엔드.

아... 음...
짧게 손가락 족 후려치자면...
이게 주인공 시점이냐 아니면 3인칭 관찰자 시점이냐에 따라서도 감상이 달라질 것 같고요.
전지적 작가 시점이라기엔 캐릭터들의 속내가 너무 안나오니...
캐릭터들이 확하고 끌어당기는 맛이 없네요. 아스카란 캐릭터랑 고문인 타키 선생이
가장 끌어당기는 맛이 있는 캐릭터라니...
8화를 기점으로 레이나가 급부상 하긴 하지만, 레이나가 부상해도 주인공의
포지션은 여전히 오리무중. 아무리 생각해도 히로인 포지션에 가까운 그 무언가.
작품 자체의 스토리는... 에... 스토리는... 있었던가요?
있긴 있었네요.
원작을 봐봐야 알것 같습니다. 도저히 뭘 말하고 싶었던 건지 모르겠네요.
굳이 말하자면 우린 노력했고 그 노력의 대가는 오해와 갈등이었고 그걸 극복하니
또 오해와 갈등이 있고 또 오해와 갈등이 있고 또 오해와 갈등이 있었지만
모두 극복하고 승리했도다?
승리하는 것은 용기있는노력하는 자이다?
BGM. 중간중간에 나오는 합주. 엔딩곡이 좋았습니다.
하지만 그게 다네요. 남은게 뭔지 모르겠습니다.
쿠미코랑 레이나의 백합 전개? 고문 타키를 둔 두 사람의 싸움?
백합전개는 3학년의 삼각관계도 있고우정과 백합 사이
2학년과 3학년도 있었던거 같고존경이냐 백합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덧글
취주악부 부원들이 각각 현실의 벽(수험, 연주실력, 지도력, 사랑 등등)에 좌절하는 모습을 보고 그리고 자신마저도 한 번 좌절하지만 그것을 좋아하는 마음을 통해 극복하고 결국 모두가 함께 대회 예선을 통과하게 되지요.
말하고자 싶었던 건 밝아 보이는 청춘이라해도 거기에는 아픔이 있다 혹은 청춘이니깐 할 수 있는 좋아하는 것에 대한 열정 찬양 정도가 인 것 같네요.
비평가마냥이라... 비평할거라면 이리 설프고 짧게 안쓰죠 누가 이런 제 허접한 글을 비평이라거 하나욬ㅋ
오페라복스2편 세빌리아의 이발사. 4편 리골레토와 6편 카르멘(03).
언어의 정원(13). 별의 목소리(02). 고양이의 보은(02). 원더풀데이즈(03). 바스토프레몬(01)
트라이건(98). 강철천사쿠루미 0식(01). 초시공요새마크로스 사랑기억하고있습니까(84)
퍼펙트블루(97). 건담 포켓속의 전쟁(89). 아노하나(11). 건담 00-A wakening of the Trailblazer-(10)
패트와 매트(76). 펌프킨시저스(06) 에어(05), 아마가미(10)
캐릭터
네. 말하시는데로 캐릭터는 럽라 괜찮아요. 럽라나 아이마스나 란 생각은 하지만
아이카츠도 좋아하는 편이고. 쿠루미도 1식 2식은 캐릭터성으로 미는게 있고,
용자물은 대놓고 로봇설정과 구성으로 밀어붙이는 경향이 있는뎁쇼.
로그호라나 소아온도 캐릭구성으로 미는거고. 캐릭터라고 하니 중2병도 하루히도
캐릭터 밀기가 많은 편인 작품이네요. 같은 쿄애니쪽이고.
그리고 지금 이 포스팅 작품이나 럽라나 같은 각본가 작품이란 거고요.
하즈키가 어떻게 자신의 악기를 좋아하게 되었는지.
아오이와 쿠미코언니가 왜 악기를 그만두었는지.
나츠키가 오디션에서 떨어지고 어떤 생각을 했는지.
카오리가 어째서 납득할 수 없었는지.
레이나가 운 이유.
전부 쿠미코의 이야기이지요.
제가 단편적 요소로 잘못판단하고 있는 걸 수도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