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 편의를 위해 존댓말로 작성하지 않았음을 먼저 안내해 드립니다.

(클베 내에서 공개된 스토리 종료될 동안 얻지 못한 진.)
1> 조작성
모바일, PC의 경우는 어떤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PS4 조작성에 대해서 언급한다. 진짜 궁금한데... PS4 조작 이따구로밖에 못하는 거? 아닌데... 다른 엔진들 만져본 결과에선 그 내부에서 분명 다 설정 가능하게 되어져 있었는데...

(지도를 오픈하려면 젤다 야숨처럼 지도가 없는 곳을 뭣도 모르고 가서 다 열고 와야한다.)
캐릭터 이동 조작: L3, 카메라 앵글조작: R3
캐릭터 변경: L1 + ○ X □ △
조작 중 퀵메뉴 오픈: L1 + R3(이곳에서 180도에 가챠 화면 접속이 있음)
일퀘 및 도움말 오픈: L1 + 방향키
일반 메뉴 오픈: option 키
일반공격: ○ 강공격: ○ Hold
점프: X
게이지 아츠 : △
대쉬: R1 달리기: R1 Hold
궁수 캐릭 정조준: L2(정조준 모드) + R2(공격)
스킬 1: R2
아이템 줍기: □
1. □ 버튼은 도대체 뭘 위해 있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 계속해서 발생 아이템 줍기 하나만을 위해서 넣어놨다면 진짜 멍청한 생각같게 느껴짐. 아이템 획득을 그럼 어떻게 하냐고 할 수도 있는데... 붕괴에서 지들이 했던 자동습득은 뒀다가 국 끓여 먹을 거임? 신의 눈인지 뭔지는 근처에 가면 자동획득하게 해놓고?
2. 전투 도중 캐릭터 변경 혹은 아이템 창에서 회복템을 사용하려고 들어가면 R3를 이미 같이 조작하고 있기 때문에 가챠 화면이 되었든, 퀘스트 화면이 되었든, 지도 화면이 되었든 다른 곳으로 들어가면서 흐름을 끊는 경우가 너무나도 많음.
3. 플스4 중앙에 있는 터치 버튼을 아예 무시하고 있는 방향임. 근데 이걸로 조작 설정 잡으면, NSW의 터치화면에서도 그걸 열수 있게 조작 변경이 가능할 거라 생각한건 나만의 착각인건지...
4. 캐릭터 변경을 왜 저렇게 둔건지 진짜 이해안감. 카메라 줌을 왜 방향키에 넣어놨는지 모르겠음. 방향키에 캐릭터 변경을 해놓으면 안됨? 이 부분은 조작성이랑 편의성 어느 부분에서도 답답하게 느껴진 부분
5. 퀵 슬롯의 부재는 조작성 편의성 부재 2개를 다 가지는 두번째 부분으로서 성립하는데, 포션을 대치하는 음식 아이템을 소모하기 위해서 퀵메뉴를 오픈하고, 거기서 아이템 창을 열어서 다시 4번째에 존재하는 음식 아이템으로 이동해서 그걸 섭취 시키고 다시 전투에 돌아가서 전투를 함. 흐름이 팍팍 끊기게 하는 주 요소임.
6. 일반 공격과 강공격을 하나로 합쳐 놓은 부분도 상당히 조작성이 안 좋음. 싸우다 말고 선입력으로 해도 어차피 반응은 늦게 일어남. 이럴꺼면 1번에서 언급한 □ 버튼에 게이지 아츠를 옮기고 △ 버튼에 강공격을 넣어놓는게 낫지 않았을까란 생각이 진짜 많이 들었음.
7. 너네 플스로 게임 안하지? 조작 진짜 더럽네 란 생각을 많이 하게 됨.

(초반에 노엘이 나와준 덕분에 상당히 편했음. 얘는 방어막 스킬이 있고 궁-게이지아츠-이 공격력 업.
지속성-속성무시 상성뎀이 적긴 하지만 여튼- 공격범위 증가였기 때문에)
2> 편의성
UI 자체는 깔끔하게 되어져 있다고 생각은 했다. 허나 다른 부분들의 문제가 있음.
1. 사운드 설정이 막혀 있음. 이게 정식 오픈하고 나면 조작이 가능하게 해줄 수도 있다고 생각은 하지만, 아직 조작을 못하게 막아놨다는 건 좀 문제가 많다고 생각한다. 클베 게임 여러개 해봤지만 이게 막혀 있는 경우는 없었다.
2. 위 조작성에서 언급된 몇가지 부분. 캐릭터 변경. 메뉴의 오픈, 카메라 앵글 조정. 퀵슬롯의 부재등. 게임을 하게 되면 플레이 흐름이라는게 있는데 그게 상당히 끊기게 되는 요소임. 젤다와 이 게임은 다른 부분이 있다보니 흐름이 끊기면 안되는 부분에서 흐름이 끊기면 상당히 의욕이 떨어지고 게임을 하게됨.
3. 다인모드에서의 파티탈퇴. 멀티모드인데 여기서 파티 탈퇴가 상당히 귀찮게 되어져 있음. 메뉴를 열고 다인모드를 들어가서 거기서 탈퇴를 진행해야함(파티 가입은 역순). 탈퇴를 할 수 있는 버튼이 퀵으로 없단 시점에서 이미 편의성 밥 말아먹은 거임.
4. 가챠는 퀵에서도 가고 메뉴에서도 감. 한 곳에서만 가게 해라. 퀵에선 빼라고. 진짜 전투하다 가챠 화면 넘어가면 얼마나 빡이 치는지 앎? 전투 흐름이 뚝하고 끊기는데, 얼마나 빡치는데.
5. 유저 경험이 젤다를 해봤을 것이라는 기정하에 만들어진 부분이 의외로 많다보니 그 부분이 오히려 독이 된 느낌도 있음. 젤다를 해봤던 사람들이라면 반응소리등을 통해서 빠르게 인지하겠지만, 젤다를 안해본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초반부에 약간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음.

(이 게임 최대의 속물은 페이몬이다. 페이몬 보면서 빡이 칠 타임이 꽤 보일 거다.)
3> 시스템
1. 가챠(확률 뽑기) 시스템
확률 뽑기 시스템은 무기와 캐릭터가 동시에 나오게 되어져 있다. 그러다보니 캐릭터를 획득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낮다.
2. 무기 제련 시스템
무기 돌파 시스템은 동일한 무기로 제련을 하도록 고안되어져 있는데, 이 무기라는 것 자체가 3성 이상이 확률 뽑기에서 등장하기 때문에 4성 무기, 5성 무기를 가지고 있다고 하여도 확률 뽑기를 통하여 제련을 하게 되어져 있다.
3. 무기 강화 시스템
무기 강화 시스템은 무기 자체에 레벨이 존재하고 무기에 레벨을 올려서 강화를 해줘야하는 형태의 시스템. 재련석을 통한 강화도 가능하고, 다른 무기를 재료로 소모하여 강화할 수 있다.
4. 무기 돌파 시스템
무기 돌파 시스템은 무기가 일정 레벨에 도달할 시 그것을 재료 아이템을 소모하여 상한치를 올리는 형태의 시스템이다.
5. 캐릭터 돌파 시스템
캐릭터 돌파 시스템은 무기 돌파 시스템과 동일하나 대상이 캐릭터다.
6. 캐릭터 강화 시스템
캐릭터 강화 시스템도 무기 강화 시스템과 동일하나, 캐릭터 전투를 통한 경험치 획득은 없으며, 캐릭터 경험치 아이템을 소모하여 강화할 수 있으니 그 부분을 인지 해둬야 한다.
7. 캐릭터 진화 시스템
캐릭터를 확률 뽑기에서 뽑을 시 겹치는 캐릭터가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상황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재화도 같이 나오는 경우가 있으니 인지하길 바란다. 붕괴랄까...
8. 스킬 강화 시스템
캐릭터별 스킬의 레벨을 강화하는 시스템. 붕괴랑 비슷하다.
9. 특성 강화 시스템
캐릭터에게 부여된 별자리를 통한 스킬 강화 시스템으로 아무리봐도 에픽세븐인데 이거.
10. 단조(무기 제작, 강화 소모 아이템 제작) 시스템
대장장이 NPC를 통하여 무기나 강화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다. 무기 제작에는 금속과 함께, 소모아이템이 여러가지 필요로 하는데, 그중 설계도 아이템이 없으면 제작 자체가 되지 않으니 설계도는 모아놓도록 하자.
11. 연금술(아이템 조합) 시스템
재료 아이템들 중 저등급의 아이템들을 조합하여 필요 아이템 혹은 상위 아이템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이다.
12. 속성 시스템
원신이 젤다와 달라지는 가장 큰 요소로 뽑을 수 있는게 바로 이 속성 시스템이다.

이게 원신 속성표.
바위는 바위로 상쇄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이 정도는 최소 알고서 게임을 해야함.
13. 모헙등급 시스템
모험 등급 시스템은 캐릭터 레벨과 별개로 유저 레벨로 구분할 수 있는데, 등급에 따른 필드에서 얻을 수 있는 보상이 변한다. 그리고 던젼을 제외한 일반 몹, 필드몹은 유저의 모험 등급 성장에 따라서 성장하는 몬스터 성장 시스템으로서도 볼 수 있기 때문에 모험 등급이 올라갈 수록 필드 몬스터 등급도 올라가니 유의하길 바란다.(스토리 진행하다보면 그냥 싸물고 몬스터도 강해진다고 생각하는게 편할 거다.)
다음 후편에서는 성장 기획과 기타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다.
덧글